🤔 헷갈리는 용어들을 정리해본다.

동적, 정적 동기, 비동기 같은말의 뜻은 이해하지만 헷갈릴때가 분명 존재한다.

정리를 통해서 헷갈리지 않게 공부하려고한다.

🧐 동적 vs 정적

처음에 동적과 정적이란 말을 들었을때 동기와 비동기랑 비슷한 말인가 했지만

변수만 가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

JAVA C C+ 같은 언어가 정적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

예를들어서

private String name;

이런식으로 Integer라는 타입을 명확하게 지정해주어 다른타입이 오면 오류를 표출해 주는게 정적 타입이라고 할 수 있고

 동적 타입은 JS, Python같은 언어에서 사용하는데

let name;
ex) name = 100;
name = '이름';
name = true;

특정한 타입이 없이 선언되고 초기화를 할 수있다

여기서 TypeScript라는 프로그래밍 언어가있는데 JS의 동적인 언어를 정적으로 만들어준다.

const user = {
firstName: "Angela",
lastName: "Davis",
role: "Professor",
}
console.log(user.name)
Property 'name' does not exist on type '{ firstName: string; lastName: string; role: string; }'.

이런식으로 타입이 맞지않으면 오류를 보여준다.

😆  동기 vs 비동기

a

a

 

💪 출처 및 도움주신분들

 

a